리눅스 터미널상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모아 봤습니다. 각각의 명령어는 많은 옵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세한 명령어 옵션 확인 방법은 아래 예시와 같습니다.
리눅스 명령어 도움말
man 페이지 (manual의 약자)man 명령어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를 제공합니다. 매뉴얼 페이지에는 해당 명령어의 설명, 사용법, 옵션, 예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an ls위의 명령어는 ls 명령어의 매뉴얼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help 옵션
많은 명령어들은 --help 옵션을 지원하여, 해당 명령어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간략하게 설명해 줍니다. 이 옵션은 빠르게 명령어의 사용법을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ls --help위의 명령어는 l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과 간단한 설명을 보여줍니다.
또한, info 명령어를 사용하여 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info 명령어는 man 보다 더 읽기 쉽고 하이퍼링크를 포함한 문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info ls이렇게 하면 ls 명령어에 대한 info 문서가 표시됩니다. 하지만 모든 명령어가 info 페이지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man이나 --help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눅스 명령어 목록
ls– 디렉토리 내용을 나열합니다.
예시:ls -l(자세한 리스트 출력)cd–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예시:cd /home(home 디렉토리로 이동)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합니다.
예시:pwdtouch– 새 파일을 생성하거나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변경합니다.
예시:touch newfile.txt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
예시:cp source.txt destination.txt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
예시:mv oldname.txt newname.txt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예시:rm unwanted.txtmkdir–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예시:mkdir new_directoryrmdir– 빈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예시:rmdir empty_directoryecho– 텍스트를 출력하거나 파일에 텍스트를 작성합니다.
예시:echo "Hello World" > hello.txt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예시:cat file.txtless–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예시:less file.txtgrep– 파일에서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검색합니다.
예시:grep "search_term" file.txtfind–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검색합니다.
예시:find / -name filename.txt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합니다.
예시:chmod 755 script.shchown–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변경합니다.
예시:chown user:group file.txtdu–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합니다.
예시:du -sh /homedf– 파일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합니다.
예시:df -htop–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예시:top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출력합니다.
예시:ps -auxkill–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예시:kill -9 12345tar–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합니다.
예시:tar -xvf archive.targzip– 파일을 압축합니다.
예시:gzip file.txtgunzip–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합니다.
예시:gunzip file.txt.gzzi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zip 형식으로 압축합니다.
예시:zip -r archive.zip folder/unzip– zip 파일을 해제합니다.
예시:unzip archive.zipssh– SSH 프로토콜을 이용해 원격 호스트에 접속합니다.
예시:ssh [email protected]scp– 원격 호스트와 파일을 안전하게 복사합니다.
예시:scp file.txt [email protected]:/path/wget–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예시:wget http://example.com/file.txtcurl–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예시:curl -O http://example.com/file.txtapt-get(Debian 계열) –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관리합니다.
예시:apt-get install nginxyum(Red Hat 계열) – Red Hat 기반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합니다.
예시:yum install nginxsystemctl– systemd 시스템과 서비스 매니저를 관리합니다.
예시:systemctl start sshdjournalctl– systemd 로그를 확인합니다.
예시:journalctl -u nginxcrontab– 예약된 작업(크론 작업)을 관리합니다.
예시:crontab -enano–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편집합니다.
예시:nano file.txtvi/vim– 강력한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편집합니다.
예시:vim file.txttail– 파일의 끝 부분을 출력합니다. 주로 로그 파일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tail -f /var/log/sysloghead– 파일의 시작 부분을 출력합니다.
예시:head file.txtdiff– 두 파일의 차이점을 비교합니다.
예시:diff file1.txt file2.txt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합니다.
예시:chmod +x script.shchgrp–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합니다.
예시:chgrp newgroup file.txtln– 심볼릭 링크나 하드 링크를 생성합니다.
예시:ln -s source.txt link.txtwho–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를 보여줍니다.
예시:whow–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와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예시:whistory– 사용자의 명령어 히스토리를 출력합니다.
예시:historyalias– 명령어에 별칭을 만듭니다.
예시:alias ll='ls -l'unalias– 별칭을 제거합니다.
예시:unalias llmount–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합니다.
예시:mount /dev/sdb1 /mnt/usbumount–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언마운트합니다.
예시:umount /mnt/usbfsck–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수리합니다.
예시:fsck /dev/sda1dd– 파일이나 장치 간에 낮은 단계의 데이터 복사를 수행합니다.
예시:dd if=/dev/zero of=/dev/sda1fdisk– 디스크 파티션을 조작합니다.
예시:fdisk /dev/sdaparted– 파티션 수정에 사용합니다.
예시:parted -llsof– 열려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예시:lsof /var/log/syslognetstat– 네트워크 통계를 보여줍니다.
예시:netstat -tulnpss– 소켓 통계를 보여줍니다. netstat 대신 사용됩니다.
예시:ss -tulniptables– 시스템의 방화벽 규칙을 설정합니다.
예시:iptables -Lchroot– 루트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예시:chroot /mnt/newrootuseradd– 새로운 사용자를 시스템에 추가합니다.
예시:useradd newuserusermod– 사용자 계정을 수정합니다.
예시:usermod -aG sudo newuseruserdel– 사용자 계정을 삭제합니다.
예시:userdel oldusergroupadd– 새로운 그룹을 추가합니다.
예시:groupadd newgroupgroupdel– 그룹을 삭제합니다.
예시:groupdel oldgrouppasswd–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예시:passwd usernameuptime– 시스템이 얼마나 오랫동안 실행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예시:uptimefree– 메모리의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예시:free -hwatch– 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출력을 전체 화면에 보여줍니다.
예시:watch -n 5 'df -h'whoami–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출력합니다.
예시:whoamihostname–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보여주거나 설정합니다.
예시:hostnamedig– DNS 조회를 위한 도구입니다.
예시:dig example.comnslookup– 네트워크 관리, 서버 및 DNS 문제의 진단에 사용됩니다.
예시:nslookup example.comtraceroute–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기까지의 경로를 보여줍니다.
예시:traceroute example.comping– 다른 호스트로 ICMP ECHO_REQUEST를 보내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 테스트합니다.
예시:ping example.com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을 보여주고 설정합니다.
예시:ifconfigiwconfig–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합니다.
예시:iwconfig wlan0netcat– 네트워크 연결을 읽고 쓰기 위한 유틸리티입니다.
예시:netcat -l -p 1234tcpdump– 네트워크 트래픽을 캡처하고 표시합니다.
예시:tcpdump -i eth0rsync– 파일을 빠르고 변수적으로 복사 및 동기화합니다.
예시:rsync -av /src /destfile– 파일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예시:file image.jpgstat– 파일이나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예시:stat file.txtlocate– 파일 위치를 빠르게 검색합니다. (updatedb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해야 함)
예시:locate file.txtwhereis– 바이너리, 소스, 매뉴얼 페이지 파일의 위치를 찾습니다.
예시:whereis lswhich– 실행 파일의 전체 경로를 보여줍니다.
예시:which lstype– 명령어의 종류를 설명합니다.
예시:type cdnohup– 로그아웃 후에도 명령어가 계속 실행되게 합니다.
예시:nohup ./script.sh &jobs– 백그라운드 작업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예시:jobsbg–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보냅니다.
예시:bg %1fg– 작업을 포어그라운드로 가져옵니다.
예시:fg %1disown– 쉘에서 작업을 분리합니다.
예시:disown %1screen– 여러 쉘 세션을 관리할 수 있는 텍스트 기반의 윈도우 매니저입니다.
예시:screen -S session_nametmux– 터미널 멀티플렉서, 여러 터미널 세션을 사용하고 분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tmux new -s session_namescript– 터미널 세션의 활동을 기록합니다.
예시:script session.logstrace– 시스템 호출과 시그널을 추적합니다.
예시:strace -p 1234ltrace– 라이브러리 호출을 추적합니다.
예시:ltrace -p 1234htop– ‘top’의 개선된 버전으로 시스템 프로세스를 인터랙티브하게 모니터링합니다. 예시:htopiotop– 디스크 I/O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도구입니다.
예시:iotopnmap– 네트워크 탐색 및 보안 감사를 위한 도구입니다.
예시:nmap -A example.comsar– 시스템 활동을 보고하는 도구입니다.
예시:sar -u 1 3vmstat– 시스템의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 CPU 활동 등을 보여줍니다.
예시:vmstat 1 5